본문 바로가기
정보

주휴수당 계산방법 및 지급조건 제대로 알아보자

by 특급생활정보 2022. 9. 9.
반응형

알바를 하거나 직장에 취업을 하게 되면 가장 먼저 쓰는 게 고용노동계약서인데요. 혹시 거기서 주휴수당이라는 단어를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 오늘은 주휴수당 계산하는 방법과 지급조건에 대해 알려드릴 테니깐. 오늘 자신이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해보시고 제대로 받고 일합시다. 

 

목차

     

    주휴수당이란?

     

     

    노동자에게 주휴일에도 수당을 주는것을 말합니다. 참고로 여기서 주휴일이란 근로노동법상 일주일이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의무적으로 주게 되어 있는데요. 이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주휴수당 지급조건

     

    주휴수당은 일주일에 15시간이상을 결근 없이 출근한 근무자에게 주휴일도 유급으로 지급하는 것 말합니다. 여기서 주휴수당 지급조건은 크게 2가지로 나누어집니다. 일주일에 40시간 미만인 근로자와 일주일에 40시간 이상 근로자로 나눕니다. 이는 뒤에 하게 된 주휴수당 계산방법에서 2가지 방식으로 나눕니다. 

     

    주휴수당 계산방법

     

    주 40시간 미만 근무 시 (1주 근로시간 / 40) X 8시간 X 시급

    주 40시간 이상 근무 시 8시간 X 시급

     

    주휴수당은 기본적으로 1주 40시간 미만 근무자의 경우 (1주 근로시간 / 40시간)X8시간X @시급으로 계산하고 1주 40시간 이상 근무자의 경우에는 8시간 X@시급만 넣으면 됩니다. 여기서 8시간은 법정근로시간 기준 최대 8시간이기 때문입니다. 계산하기 복잡하시분들은 주휴수당 계산기를 이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주휴수당 계산기 바로가기

    댓글


    /* 링크버튼 */ twitter /* 링크버튼 끝 */